인기뉴스

서울역 5분 거리에 ‘K-공연예술 메카’ 탄생… 서계동에 4개 공연장·200호 예술인주택 조성한다

  • 문체부-LH-서계문화마당,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 업무협약 체결… 2029년 완공 목표
  • 남산·명동·정동 연계 ‘남산공연예술벨트’ 구축… “공연예술산업 성장의 새로운 동력될 것”
국방부가 기무사 창고로 사용하던 ‘국립극단 서계동’ 부지. (사진=(시)삶과문화)

문화체육관광부가 서울역 인근 서계동에 대규모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한다.

문체부는 5일 오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계문화마당과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계동 복합문화공간은 서울역에서 도보 5분 거리인 서계동 1번지 일대 국립극단 부지(7,904.5㎡)에 들어선다. 이 공간에는 4개의 공연장과 10개의 연습실, 공연 전문도서관, 전시관 등이 조성된다. 특히 1,000석 규모의 대극장을 비롯해 500석 규모의 중극장과 블랙박스극장 등 다양한 규모의 공연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예술인들을 위한 200호 규모의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이 함께 조성된다는 것이다. LH는 이 임대주택을 30년간 운영한 후 국가에 기부채납할 예정이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서계동 복합문화공간은 공연예술산업 성장을 위한 튼튼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예술인들의 복지 향상과 소중한 창·제작의 산실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문체부는 서계동 복합문화공간과 함께 남산 국립극장, 명동예술극장, 국립정동극장을 연계해 ‘남산공연예술벨트’를 조성할 계획이다. 남산 국립극장에는 2026년까지 공연연습실, 스튜디오, 무대 보관소 등 창제작 시설이 확충되고, 정동극장은 2029년 완공을 목표로 공연장과 편의시설이 확대된다. 명동예술극장은 더 많은 국민과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공연시설로 활성화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임대형 민자사업(BTL)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업시행자인 서계문화마당이 시설을 준공한 후, 해당 시설의 소유권은 국가와 지자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는 20년 동안 시설을 임차해 운영하게 된다.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은 2014년부터 추진되어 온 사업으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많이 본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