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뉴스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70세 이상… 노인이다”

  • 소득·자산 및 교육 수준 상승, ‘노인’ 연령 기준 71.6세로 높아져
  • 1인 가구 증가와 디지털 격차 해소 필요성 부각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인식 조사. (사진=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17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과 자산,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으로 2020년 대비 14.6%(442만 원) 증가했다. 금융 자산 규모도 4,912만 원으로 2020년보다 1,699만 원 늘어났다. 교육 수준도 향상되어 고졸 이상 비율이 38.2%로 2020년 34.3%에서 상승했다.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 70.5세보다 1.1세 높아졌다. 이는 노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디지털 기기 보유율도 크게 증가했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76.6%로 2020년 56.4%에서 20.2%p 상승했고, 컴퓨터 보유율도 20.6%로 7.7%p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67.2%의 노인이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변화는 1인 가구(독거노인)의 증가다. 1인 가구 비중은 32.8%로 2020년 대비 13.0%p 증가했다. 반면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는 10.3%로 감소했다. 1인 가구는 다른 가구형태에 비해 건강상태, 우울증상,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 관련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우울증상을 가진 노인은 11.3%로 2020년 대비 2.2%p 감소했고, 낙상사고 경험률도 5.6%로 1.6%p 줄었다. 장기요양보험 이용 비율은 30.7%로 크게 증가해 공적 돌봄체계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임을기 노인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변화되는 노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변화된 정책여건에 맞춰 어르신의 활기차고 존엄한 노후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예상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거, 일자리, 의료, 요양,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특히 1인 가구와 디지털 격차 해소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많이 본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