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자산 및 교육 수준 상승, ‘노인’ 연령 기준 71.6세로 높아져
- 1인 가구 증가와 디지털 격차 해소 필요성 부각
보건복지부가 17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과 자산,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으로 2020년 대비 14.6%(442만 원) 증가했다. 금융 자산 규모도 4,912만 원으로 2020년보다 1,699만 원 늘어났다. 교육 수준도 향상되어 고졸 이상 비율이 38.2%로 2020년 34.3%에서 상승했다.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 70.5세보다 1.1세 높아졌다. 이는 노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디지털 기기 보유율도 크게 증가했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76.6%로 2020년 56.4%에서 20.2%p 상승했고, 컴퓨터 보유율도 20.6%로 7.7%p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67.2%의 노인이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변화는 1인 가구(독거노인)의 증가다. 1인 가구 비중은 32.8%로 2020년 대비 13.0%p 증가했다. 반면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는 10.3%로 감소했다. 1인 가구는 다른 가구형태에 비해 건강상태, 우울증상,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 관련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우울증상을 가진 노인은 11.3%로 2020년 대비 2.2%p 감소했고, 낙상사고 경험률도 5.6%로 1.6%p 줄었다. 장기요양보험 이용 비율은 30.7%로 크게 증가해 공적 돌봄체계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임을기 노인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변화되는 노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변화된 정책여건에 맞춰 어르신의 활기차고 존엄한 노후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예상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거, 일자리, 의료, 요양,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특히 1인 가구와 디지털 격차 해소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