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당국, 애플 앱스토어 수수료·정책 조사 검토… 주가 1% 하락
- 구글·인텔 이어 美 빅테크 압박… 트럼프 2기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 조짐
중국 정부가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에 대한 조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이는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6일(현지시간)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애플 앱스토어의 수수료 체계와 제3자 결제 차단 정책 등에 대한 조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AMR은 애플이 앱 내 구매에서 최대 30%의 수수료를 가져가는 관행과 타사 결제 서비스 및 앱스토어 차단 정책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애플 주가는 한때 약 1% 하락했다. 애플은 앱스토어 정책이 사용자 보호와 제품 경험 개선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나, 중국 당국은 이러한 정책이 경쟁을 저해하고 현지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최근 구글에 대해서도 반독점 조사를 시작했으며, 인텔에 대한 조사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취임 한 달 만에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로 해석된다.
애플은 이미 유럽연합(EU)의 디지털시장법에 따라 앱스토어 정책을 일부 변경한 바 있다. 중국에서의 조사가 현실화될 경우, 애플은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 추가적인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애플의 대중화권 매출은 지난 12월 분기에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한편,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은 이미 화웨이와 같은 현지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애플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3위로 밀려났으며, 비보와 화웨이에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CNBC의 논평 요청에 대해 애플과 중국 상무부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중국 당국의 공식 조사 개시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지만, 이번 사태가 미중 무역전쟁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